지금 미국 셧다운 구조 이해하고 대응하세요 필리버스터 모르면 손해봅니다


소개글

미국의 셧다운이 또다시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필리버스라고 들어 보셨나요? 생소하시면 공부삼아 한번 읽어보시죠.

공화당이 의석을 더 많이 차지했는데도, 정부가 멈춘 이유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이번 사태의 핵심은 단순히 정당 간 싸움이 아니라, ‘필리버스터’와 ‘상원 60표 규칙’이라는 제도적 구조에 있습니다. 

아무리 다수당이라도 초과 다수의 동의 없이는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죠. 

민주당과 공화당이 예산 항목 중 의료보조금·복지 지출을 두고 팽팽히 맞서면서 결국 예산 협상이 결렬된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셧다운의 구조적 원인, 필리버스터 제도의 실체, 그리고 정치 리스크가 경제·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미국 셧다운이 무엇이며 왜 반복되는가: 예산·CR·필리버스터 구조

미국의 셧다운(Shutdown)은 말 그대로 정부의 일부 기능이 멈추는 사태를 의미합니다.


이 사태는 단순한 행정 중단이 아니라, 정치 구조의 교착에서 비롯된 제도적 결과입니다.

미국의 회계연도는 매년 10월 1일에 시작되며, 그 전에 반드시 의회가 예산안을 통과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의회, 특히 상원과 하원에서 여야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부는 법적으로 돈을 쓸 수 없게 됩니다.

이때 비필수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일시적으로 문을 닫게 되고, 이를 ‘정부 셧다운’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공화당이 의석이 더 많으니 예산안 통과가 쉬운 거 아닌가요?”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미국 상원에서는 대부분의 중요한 법안이 단순 과반(51표)이 아니라, 60표 이상의 찬성(초다수, Supermajority) 을 얻어야만 통과됩니다.

이 제도를 필리버스터(Filibuster) 라고 부릅니다.

즉, 다수당이 하원을 장악하고 있어도, 상원에서 소수당이 반대하면 법안이 막히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이번 셧다운 사태도 ‘공화당이 의석이 많으면서도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못한 이유’는 바로 이 필리버스터 때문입니다.

공화당은 의료보험 보조금 축소와 복지예산 삭감을 추진했고, 민주당은 그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민주당이 상원에서 필리버스터를 발동하면서, 공화당이 내놓은 임시예산(Continuing Resolution, CR)조차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정부 예산의 집행 근거가 사라졌고, 미국 연방정부는 일부 기능을 멈출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처럼 셧다운은 단순한 정치 이벤트가 아니라, 미국 제도의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 반복되는 현상입니다.

양당이 타협하지 않는 한, 같은 일은 앞으로도 계속 벌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올해처럼 정치적 대립이 극단화된 시기에는 셧다운이 협상의 도구로 쓰이기 쉽습니다.

결과적으로 피해는 국민과 시장이 떠안게 됩니다.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고, 공무원 급여가 멈추며, 소비가 위축되면 금융시장 전체가 불안해집니다.

그래서 셧다운은 ‘정치의 문제’이자 동시에 ‘경제 리스크’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한마디로 말해, 미국 셧다운은 권력의 힘겨루기 속에서 국민이 희생되는 정치의 그림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수당인데 왜 막히나: 상원 60표 장벽과 예산 협상 동학

미국 의회는 단순히 “다수결”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상원에서는 대부분의 주요 법안이 통과되기 위해 60표 이상이 필요합니다.

이를 ‘필리버스터(Filibuster)’ 제도라고 하는데, 소수당이 법안 심의 절차를 끌거나 막을 수 있는 강력한 권한입니다.


즉, 공화당이 상·하원 모두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하고 있어도,

상원에서 민주당이 필리버스터를 걸면 예산안 통과가 불가능해집니다.


이게 바로 “다수당인데 왜 셧다운이 발생했는가”의 핵심 이유입니다.

미국의 예산은 매년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회계연도에 맞춰 새로 통과되어야 합니다.

하원에서 예산안이 통과되더라도, 상원에서 필리버스터에 걸리면 대통령의 서명까지 갈 수 없습니다.


결국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정부는 법적으로 돈을 쓸 수 없게 되어, ‘셧다운’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이번 2025년 셧다운 사태에서도 같은 일이 반복됐습니다.

공화당이 제출한 임시예산안에는 복지 프로그램 삭감, 오바마케어 보조금 축소, 공공기관 지출 감축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에 강력히 반대하며 “사회적 약자를 희생시키는 예산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텼습니다.


공화당은 “정부를 열어야 협상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민주당은 “복지 보장을 포함하지 않으면 협상할 이유가 없다”고 맞섰습니다.

그 결과 양당 모두 물러서지 않는 ‘치킨게임’이 시작된 겁니다.


정치적으로는 책임을 상대에게 떠넘기려는 모습이지만, 실제 피해는 국민이 보게 됩니다.

국립공원 폐쇄, 통계청 마비, 연방 공무원 무급휴직 등 일상적 행정이 중단됩니다.


이런 구조는 미국 정치의 ‘체크 앤 밸런스(Check & Balance)’ 정신에서 비롯됐지만,

지금은 협치보다는 정치적 대립의 무기로 변질되었다는 비판이 큽니다.


결국 셧다운은 “정치 교착의 결과물”이자, “제도적 완벽함이 만들어낸 불완전한 현실”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수당이라도 60표의 벽을 넘지 못하면 멈추는 나라,

그게 바로 지금의 미국 정치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모순입니다.


마무리글

미국의 셧다운은 단순히 한 나라의 정치적 사건이 아닙니다. 

그 배경에는 권력분립이라는 헌법적 장치와, 타협이 사라진 현대 정치의 현실이 있습니다. 

공화당이 많아도 예산을 못 통과시키는 이유, 그 속엔 ‘협치’의 부재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정치적 마비 속에서도 시장은 방향을 찾습니다. 

제도를 이해하는 사람만이 그 속에서 기회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참고 영상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