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지원금 1차와 2차의 차이점

 


민생지원금 1차와 2차의 주요 차이점 :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1. 대상 범위의 차이

  • 1차 지급: 전 국민 대상
  • 2차 지급: 소득 상위 10% 제외한 90%

2. 지급 금액과 구조

  • 1차: 일반 15만 원, 차상위·한부모 30만 원, 기초수급자 40만 원, 지역추가 최대 +5만 원
  • 2차: 전 계층 동일하게 10만 원 (상위 10% 제외)
계층 1차 2차 합계 최대형(지역 추가 포함)
일반 하위 90%15만 원10만 원25만 원최대 30만 원
차상위·한부모30만 원10만 원40만 원최대 45만 원
기초생활수급자40만 원10만 원50만 원최대 55만 원
소득 상위 10%15만 원015만 원-

3. 신청 및 지급 방식

  • 1차: 국민 신청 필요 (요일제 적용), 방식 선택 가능
  • 2차: 자동 지급 (1차 수령 방식 동일)

4. 지급 및 사용 일정

  • 1차: 2025.7.21 ~ 9.12 신청, 사용기한 ~11.30
  • 2차: 2025.9.22 ~ 10.31 자동지급, 사용기한 ~11.30

5. 소득 기준 산정의 변화

  • 기준: 건강보험료 납부액 (월 27만 원 이상은 상위 10% 추정)
  • 맞벌이 합산, 지역가입자 재산 포함 기준
  • 이의신청 가능 예정

✅ 차이점 한눈에 정리

항목 1차 지급 2차 지급
지급 대상전 국민소득 상위 10% 제외
지급 금액계층별 차등 지급동일 10만 원
지급 방식신청 방식 선택자동 지급
신청 기간7.21 ~ 9.129.22 ~ 10.31
사용 기한~11.30~11.30
소득 기준없음건보료 기준
이의 신청불가가능 예정

🔍 주요 유의사항 및 팁

  • 1차 미신청 시 2차 제외
  • 1차와 동일한 지급 방식 유지
  • 상위 10% 대상자 이의제기 가능
  • 지급금은 지역 소상공인 중심 사용처에서만 사용 가능
  • 2025.11.30까지 미사용 시 소멸

✍️ 요약

1차는 전 국민 대상, 2차는 상위 10% 제외한 대상에게 지급됩니다. 지급 금액, 방식, 소득 기준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자동지급 여부 및 이의신청 가능성도 다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참고 영상

이미지alt태그 입력